본문 바로가기

투자와 생각

23년. 5월 페라이트의 주목

728x90

시장은 어렵지만, 페라이트는 핫하다.

테슬라가 희토류 대체재로 페라이트를 주목하고 있다고 관련 종목이 연일 상한가를 가고 있다.

 

페라이트가 도대체 뭐길래...궁금해서 오늘 스터디 좀 했다.

 

일단, 발단이 된 첫번째 배경.

미국의 중국 고립 작전. 

하지만, 전세계 희토류 광물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은 희토류를 무역 무기화할 가능성이 있다.

 

두번째 배경은 전기차 시대의 도래.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장부품이 많아지고, 따라서 관련된 동력계 모터도 중요하지만, 전장부품에 따른 모터의 부품도 많아지고 있다.

과거 2014년도 자료를 보면, 내연기관 자동차에도 40~50여개의 전장 모터가 들어가는데, 

전기차에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전장모터가 들어갈 터.

게다가 구동모터는 희토류 기반의 자석을 이용한 모터인데, 첫번째 배경 때문에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 한다면? 단가를 올린다면? 수출제한을 한다면?

시장은 대체재가 필요한 것이다. 지금은 아니더라도 준비를 해야하는게 회사들의 당연한 자세. 

 

그렇다면 페라이트 자석에 대해서 알아보자.

 

페라이트 자석의 장점.

1. 희토류 기반 자석의 대체제.

2. 특성자체가 산화물이다. 산화물이다보니 화학적으로 이미 안정화된 상태. 이미 안정화된 상태이므로 내식성이 우수하고 고온에도 내구성이 좋다.

 

그렇다면, 앞으로 추가로 확인해야할 사항들은.

1. 페라이트 자석이 희토류 기반 자석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가? 대체할 수 있다면 생산능력에 있어서도 충분히 커버 가능한가?

2. 경량화, 소형화의 기술이 어느정도로 발전 되었는가? 배터리도 무거운데, 모터까지 크고 무거울 수는 없다. 얼마나 기술적으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느냐.

3. 세계 경쟁 제조사들이 어떻게 되는가? 

최근 핫한, 유니온머티리얼을 비롯해서 페라이트 자석 관련 특징주들은 연일 상한가다. 우리 기업만 페라이트 자석 사업을 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 나라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10~15% 정도 되는 것이 서칭 결과인데, 좀더 신뢰할만한 자료 기반으로 시장조사가 된 것이 있을지 궁금하다.

4. 테슬라의 의도가 실현이 될 수 있는가? 이미 테슬라는 전기차 완성차 업계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을 시작했다. 엘론 머스크의 사업 기본 전략 중 하나는 "독점"이다. 그는 자율주행 전기차를 선도 했고, 스페이스X는 우수산업을 이미 선도하고 있다. 

전기차로의 페러다임 변화를 이끈 점도 괄목하지만, 테슬라 생산공장의 자동화도 이루고 있어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업계가 계속 테슬라 모델을 모방하면서 쫗아가고 있는 형국이다.

 

유니온머티리얼은 과거 쌍용머티리얼에서 출발하여 꽤나 오랜기간 페라이트 자석 사업을 영유하고 있다. 

앞으로 시장 확장성만 담보된다면, 이미 가진자의 영역이 아닌...지금도 늦지 않은 시점이 아닐까?

Sell in May 시기에 Buy the dip 해야.....

 

주식은 너무 어렵다.

 

 

728x90
반응형